행정학노트

문 101) 정책형성이론

태백산에서 2011. 1. 14. 16:06

문 101) 정책형성이론

   대안의 합리적 모색과 관련해 출제
   종래 ∼ 합리모형, 점증모형, 만족모형, 혼합주사모형, 최적모형
   최근 이론 정리 필요

Ⅰ. 합리모형 ∼ prototype, 이상형·이념형

  1. 목표설정 이후
    ⑴ 모든 대안 마련
    ⑵ 모든 비용·편익의 계산
    ⑶ 대안의 비교
    ⑷ 선택
  
  2. 전지전능한 행정인

  3. 문제점
    ⑴ 모든 대안의 마련은 곤란
    ⑵ 모든 비용/편익의 계산 역시 곤란

Ⅱ. 만족모형

  1. 주창자 ∼ H. Simon
              의사결정을 행정학의 본질로 봄
              cf. 의제설정 ∼ 주의집중단계로 봄

  2. 모든 대안의 모색×, 만족할만한 수준에서 그침
    ex) 바늘의 선택 ∼ 몇 개만 비교해 고름

Ⅲ. 점증모형

  1. 예산과정상의 점증주의 ∼ 전년도 답습주의

  2. Lindblom의 점증주의 ∼ 규범적·민주주의 국가 → 점증주의 요구

Ⅳ. 혼합주사모형
  A. Etzioni
                                                               개도국 등의 사회
                                                                       |
     권 위  +  민 주  ──────────→  행동적 사회(active society)
       ↑            ↑                                               ↑
    합리모형   점증모형                                혼합주사모형이 적합
     적    합    적    합

  근본결정 ∼ 합리모형
  세부결정 ∼ 점증모형

Ⅴ. 최적모형

  Dror ∼ 지나친 경제적 합리성 비판
          초합리성(창의력, 직관)의 요소 고려

Ⅵ. 회사모형

  Cyert & March
  종래 기업 → "이윤극대화"를 목표로 개별부서가 일사불란하게 움직인다고 봄
               그러나 실제로 각 부서마다 "개별적 목표"가 존재 ∴ 항상 갈등이 상존

  연합모형
  갈등의 준해결, 불확실성의 회피, 몇 개 대안만 탐색, 조직체의 학습 강조
  갈등과 조정의 반복 → 학습의 결과 → SOP가 만들어짐

Ⅶ. 엘리슨의 세 가지 모형
 
      Ⅰ-합리모형                  Ⅱ-조직(회사)모형                     Ⅲ-(관료)정치모형
                                                    ∴                           
input→블랙박스→output    input→ ∴∵∴  →output            input→          →output
                                               위계조직
   일사불란한 의사결정    자체 조직내의 의사결정과정을           관료 개인의 이익주장
    내부과정의 고려가             거치게 된다                          다양한 이해관계가 얽힘  
      필요하지 않음          ∴유형이 약간 변화됨                 어떤 유형이 나올지 알 수 없음

Ⅷ. 쓰레기통 모형

   J. P. Olsen이 주장
   대학사회·친목단체 ∼ 무정부상태   ∴ 어떤 결과가 나올지 모른다
   불확실한 선호 속에서 「기회, 문제, 해결책, 참여자」가 마주쳐야 결정
                         
Ⅸ. 공공선택모형

   정치에 대한 경제적 해석
   방법적 개체주의
   사익의 중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