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 117) 정부의 생산성 향상 제고를 위한 행정개혁의 방안
Ⅰ. 서론
1. 의의
생산성 향상 ∼ 효율성과 동의어, 작은 정부, 규제완화 등과 같은 행정기능의
재정립의 맥락에서 이해할 필요
2. 대두배경
A. Gore 부통령의 NPR에서 비롯
Barzelay : 소비자 위주의 관료조직 주장
Self : 시장에 의한 정부
Osborn & Gaebler의 「Reinventing Government」
90년대 TQM기법의 도입 → 좋은 행정서비스제공 + 행정오류제거
Ⅱ. 종래 행정의 문제점과 기능재정립의 필요성
1. 군림하고 통제하는 행정 : 권위주의적 정부 운영
2. 관료편의주의 : 고객을 위한 서비스 부재
3. 경쟁결여와 기능수행의 비효율성
4. 재정위기
5. 참여제한 → 시민의식실종
Ⅲ. 행정의 생산성 제고를 위한 정책방안
1. 결과중심의 관리체계 : 고객중심
종래 예산 ∼ 투입 중심 → 앞으로의 예산 ∼ 이용·만족도 등의 성과 고려
영국의 Citizen's Charter 납세자권리보장
2. 권력의 민주화 : 분권화, 정책공동체, 정책실명제, 행정통제강화
3. 조직개편
⑴ 상업화 추진 : 경쟁체제 도입(계약제, 사용료 부과, 민영화 등)
ex) 영국의 Next Step 제도
기존조직 Next Step 조직
관악구청장 구청장은 없음 △복지사무소
┌───╋───┐ ▲ 부과사무소
녹지과 복지과 부과과 녹지사무소♣
⑵ 부처의 통폐합
⑶ 사무자동화 및 정보화 추진
4. 인사제도
⑴ 인사권의 부처위임과 적극적 인사제도
⑵ 교육훈련의 개선
⑶ 성과급 제도 : 일한 만큼 보수 지급
5. 예산제도
⑴ 신축성 보장 : 총괄예산, 다년도예산, 중기재정계획의 활성화
⑵ 효율성 배당(efficiency dividend) : 절약분을 차년도에 이월시켜 줌
⑶ 시장원리도입 : 시장(자발적 교환), 정부∼공공재(비배제성, 비경합성)
⑷ 기금개혁
6. 회계제도 : 발생주의 도입(성과측정이 유리), 재무제표 작성
Ⅳ. 결론
개혁과정의 민주화 필요
정치적 합의 + 국민적 지지가 이뤄져야 성공
군림하는 행정 → 봉사하는 행정
'행정학노트' 카테고리의 다른 글
문 115) 행정부에 대한 내적통제의 비공식적 수단 (0) | 2011.01.14 |
---|---|
문 116) 행정개혁 (0) | 2011.01.14 |
문 118) 기업가형 정부 (0) | 2011.01.14 |
문 119) 옴부즈만제도 (0) | 2011.01.14 |
문 120) 작은 정부 (0) | 2011.01.1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