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 108) 정부부처간 기관갈등과 정책조정
Ⅰ. 문제 제기
과거 : 단결·화합중시
민주화 → 갈등 증대·조정이 필요해 짐
Ⅱ. 갈등의 순·역기능
1. 순기능 ∼ 정책결정의 신중성 제고(자가학습), 정책결정의 반응성 향상에 기여
managed conflict → 관리된 갈등은 창의성·쇄신성 유도(적절한 갈등은 필요)
2. 역기능 ∼ 조직의 위기감 조성, 목표·수단의 대치, 타집단 배척
Ⅲ. 원인
1. 중앙부처간
① 이념의 변화와 가치의 다양화
② 정책지향의 차이
③ 정책문제의 분산성
④ capture theory
⑤ 국가적 합리성 강조(부처할거주의)
2. 중앙 vs 지방
① 이해대립
② 권위주의적 행태
③ 지역이기주의
Ⅳ. 해결방안
1. 상례적 조정 ∼ 기획·예산·법령 등의 제정을 통해
2. 비상례적 조정 ∼ 개별부처 주도형
Ⅴ. 조정방안
1. 인식전환 : 갈등 → 단순한 억제 대상 ×
2. 갈등·조정과정의 민주화
3. 참여·공개의 제도화
4. 입법부 기능의 활성화
5. 갈등분쟁조정위원회
6. 부처간 인사교류
Ⅵ. 결론
갈등 ∼ 합리적 관리·조정 요구 (순응비용고려)
5공까지 → 안기부에서 조정을 통해 부처간 갈등 해결
문민정부 → 대통령 비서실 part별 구성, 부처간 조정기능 상실
'행정학노트' 카테고리의 다른 글
문 106) 사회실험 (0) | 2011.01.14 |
---|---|
문 107) 정책결정요인론 (0) | 2011.01.14 |
第八障. 統制와 改革 문 109) 행정윤리 (0) | 2011.01.14 |
문 110) 정부불신의 원인과 극복방안 (0) | 2011.01.14 |
문 111) 관료부패 (0) | 2011.01.1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