第九障. 기타 행정학 관련 문제
문 121) 현상학적 접근방법
Ⅰ. 의의
현상학은 직관적으로 포착되는 경험의 본체를 중시하고 확인하려 함
객관화에 앞서 자연스럽게 체험된 생활세계의 규명에 초점
Ⅱ. 내용
1. 조직구성원이 살고 있는 사회질서를 어떻게 관찰하고 이해하는가에 대한
해석학적 설명에 주력
2. 조직의 중요성은 외적인 구조성에 있는 것이 아니라
그 안에 있는 가치, 의미, 행동에 있음
3. 조직의 물화(物化)과정에 흥미를 가지로, 이의 원인규명에 초점
4. 인간행동의 의미는 행위자 자신들의 관점에서만 파악 가능
5. 인간의 의도된 행동과 표출된 행위들을 구별 ∼ 의도된 행동이 중요
Ⅲ. 행정학에서의 현상학적 접근
1. Schutz의 관료제에 대한 인식
⑴ Weber의 사회적 행동과 관료제의 구분이 일상생활에서 어떻게 결합되는가를
분석하여 we-relation(우리 관계)과 they-relation(그들 관계)의 두 가지로 구분
⑵ 우리 관계 : 개인상호간 대면관계 또는 동사회인의 관계가 성립됨으로써 너와
나 사이에 순수한 우리 관계를 경험하는 것을 말함
→ Weber의 사회적 맥락과 유사
⑶ 그들 관계 : 동시대인일 뿐 동사회인이 아닌 사람들 사이 ex) 고객과 관료
2. Harmon의 행동이론
⑴ 행정분야에 현상학을 가장 포괄적으로 적용
⑵ Harmon의 행동사회적 관점은 조직생활에 새로운 기초를 형성하는 인식론적 방법과 민주적 책임성과 개인의 대응성을 보다 명확히 이해시키는 규범적 접근방법으로서 전자는 인간의 행태보다 의도한 행위에 인식의 관점을 기울여야 한다는 것이고, 후자는 공조직의 책임성 제고를 위한 규범적인 상호주관적 개인책임을 강조한 것
Ⅳ. 평가
1. 공헌
⑴ 인간의 주관적 관념, 의식, 동기 등의 의미를 보다 더 적절하게 다루고 이해할
가능성 제시
⑵ 조직·사회현상 문제를 보는 데 있어 폭넓은 철학적 사고방식과 준거의 틀 제공
⑶ 사회정의, 형평과 같은 규범성이 중시되는 신행정론의 이론적 바탕, 행동지향적
행정인, 후기관료조직에 대한 교량적 역할
⑷ 주체와 대상의 관계회복, 즉 서로 다른 우리 모두가 상호주관적으로 이해할 수
있는 세계를 형성하는데 주체와 대상관계의 역할을 찾음
2. 비판
⑴ 주장이 지나치게 사변적이고 철학적 → 주관성이 강함
⑵ 행위의 목적성과 의도성을 찾아내는 방법과 기술에 대해서는 언급이 필요함
⑶ 인간행동의 많은 부분이 무의식이나 집단규범 또는 외적 환경의 산물이라는
점을 간과함
⑷ 개별적인 인간행동과 상호작용의 해석에 역점
'행정학노트' 카테고리의 다른 글
문 117) 정부의 생산성 향상 제고를 위한 행정개혁의 방안 (0) | 2011.01.14 |
---|---|
문 118) 기업가형 정부 (0) | 2011.01.14 |
문 119) 옴부즈만제도 (0) | 2011.01.14 |
문 120) 작은 정부 (0) | 2011.01.14 |
문 122) 비판행정이론 (0) | 2011.01.1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