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 120) 작은 정부
Ⅰ. 서론 (등장배경)
자본주의체제에서 강력한 정부의 경제·사회복지정책에 대한 반발로 등장
1930년대 이후 국가기능 강화 → 1970년대 후반까지 지속
신자유주의 시각 등장 → 행정개혁
자유시장제도의 질서 강조 → 능률적인 작은 정부 지향
Reagan ∼ 조세경감, 정부규제완화 및 정부개입 축소
공급경제학적 관점 : 규제완화를 통한 경제활성화
Ⅱ. 이론적 배경(미국의 정치사상)
1. 야경국가관
J. Locke 사상 영향 → 정부는 개인의 재산을 보호하는 게 임무
최소한의 정부가 최선의 정부
2. 복지국가관
사회문제의 정치화 → 정부규모의 확대는 문제해결×
∵ 여야간 정쟁으로 정부기관만 확대되고 사회문제해결×
최선의 봉사가 최선의 정부
3. 국가역할의 범위와 국가복지의 이상 추구에 대한 비판
⑴ 자본주의 ∼ 복지국가정책 → 경제위축, 국민기대 상승, 정치통제약화
→ 인플레이션만 초래
⑵ 사회주의 ∼ 비효과적·비능률적·억압적 → 노동계급 사이의 투쟁 야기
→ 사회적 분열 초래
⑶ 문제점 ∼ 국가개입지양과 복지국가에 대한 비전을 구별하지 못함
4. 작은 정부론의 등장
석유 파동 이후 ① 정부규모의 양적 축소, ② 질적 개선에 대한 인식
Ⅲ. 작은 정부의 개념
작은 정부 = 정부 규모의 축소 + 정부활동 범위의 축소
1. 전체적인 국가 부문을 포괄해 이야기 할 때
→ 정부의 규모보다는 국가가 행사하는 영향력의 크기가 문제
2. 정부의 기능·제도적 측면
→ 국가기능 및 민간이양기능의 구분 문제
정부조직을 재검토하고 생산성을 향상시키는 방향을 생각해야 함
3. 권력과 영향력의 축소 방안
⑴ 민간이양 ⑵ 각종 규제의 완화 ⑶ 감축관리
Ⅳ. 우리 나라가 지향해야 할 작은 정부의 개념
1. 효율적인 정부 ∼ 공익 목표를 효율적으로 강조
규모의 축소, 성장의 정지가 아니라 최대한 성장을 억제하는 방향
2. 국가부문의 영향력 감소 ∼ 권력남용배제 ex) 안기부 등의 개입 방지
⑴ 사법적 규제와 윤리규범의 강화 → 민간부문의 확대 강화
⑵ 수평적 기능 분담
⑶ 민관협조체제 조장
3. 민간화·경제규제의 완화
간접적 지원 치중 → 지방정부에 자율성 부여, 정부관리의 최소화
준공공부문(QUANGO)을 확대·축소하는 것
NGO활동의 강화·확대 필요
4. 중앙정부와 지방정부의 관계변화 ; 분권화
기능과 사무배분이 이뤄져야 함
→ 지방정부기능의 확대, 중앙정부기능의 축소
Ⅴ. 우리 나라의 작은 정부 구현 노력
제5공화국 때
1. 대국·대과주의 ∼ 국·과의 축소
2. 총정원제
3. 예산관리 → ZBB 도입
'행정학노트' 카테고리의 다른 글
문 117) 정부의 생산성 향상 제고를 위한 행정개혁의 방안 (0) | 2011.01.14 |
---|---|
문 118) 기업가형 정부 (0) | 2011.01.14 |
문 119) 옴부즈만제도 (0) | 2011.01.14 |
문 121) 현상학적 접근방법 (0) | 2011.01.14 |
문 122) 비판행정이론 (0) | 2011.01.1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