행정학노트

第六障. 都市行政 문 89) 도시행정의 일반

태백산에서 2011. 1. 14. 16:25

第六障. 都市行政

문 89) 도시행정의 일반

Ⅰ. 도시행정의 의의

   도시행정 ∼ 도시자치단체가 도시의 건전한 발전과 공공복리의 증진을 위해 행하는
               일체의 정치적·행정적 작용
   도시행정의 목표 ∼ 도시의 건전한 발전과 주민의 복지·안녕
   도시행정의 특징 ∼
     ⑴ 도시행정의 수요가 양적으로 증가하고 질적으로 향상
     ⑵ 도시행정 대상의 다량성 및 다양성
     ⑶ 도시행정 기술이 고도화되고 전문화되었다
     ⑷ 도시행정통신의 신속성
     ⑸ 도시경제나 사회환경의 변화성
     ⑹ 도시행정기술이 고도화되고 전문화
     ⑺ 광역도시행정화     
  
Ⅱ. 도시에 관한 일반이론

  1. 도시의 개념 ∼
     도시권역의 중심지로서 물리적 시설이 타지역에 비해 현저히 집중되어 있는 곳
     일정지역의 정치·경제·문화 등의 중추를 이루고, 비농업적 생활을 특색으로
     하는 취락

  2. 도시의 기능 ∼ 도시의 활동, 상호작용, 과정 등의 동태적 의미
     제 1 기능 ∼ 생활기능              제 2 기능 ∼ 생산기능
     제 3 기능 ∼ 위락(여가)기능        제 4 기능 ∼ 교통(연결)기능

  3. 도시의 분류
    ⑴ 정책적 분류
       ① 전원도시(E. Howard) ∼ 도시와 농촌의 자연미, 전원을 융합한 도시
       ② 신도시              ③ 성장거점도시              ④ 연합도시



※ 참고 전원도시

Ⅰ. 개념 ∼

전원도시란 건강한 생활과 산업을 위하여 설계된 도시로서 그 규모는 사회생활의 편익을 완전히 갖출 수 있는 정도로서 그 이상 커서는 안되며 도시의 범위는 농경지로 둘러싸이고 도시전체가 공유이던가 아니면 커뮤니티를 위해 위탁한 것이라고 본다.

Ⅱ. Howard 전원도시론의 사상적 배경

1. 실용주의 사상 ∼ 생활환경적 측면에서 도시·농촌생활의 조화

2. 조직적 식민론 ∼ 영국의 대표적 사회를 수출 새로운 식민지 건설

3. 합리적 토지정책 ∼ 토지투기와 지가앙등의 방지

4. 모범도시 건설과 위생도시 건설안의 모방

Ⅲ. 내용 ∼ 도시주변에 물리적인 차단녹지를 설정, 도시 배후에 주거지 확보

→ 공원으로 구성된 도시가 아니라 공원 속의 도시 형성




   
    ⑵ 구조적 분류
       ① 단핵도시(핵심도시) ∼ 행정·입법·사법 등의 중추기능을 하는 도시
       ② 다핵도시 ∼집증적 활동이 몇 곳에 나누어져 모인 도시
       ③ 대상도시(帶狀都市) ∼ 하나의 중심축에 주요 기능이 길게 형성
    ⑶ 공간구조에 의한 분류 ∼
       연담형도시, 인지형도시, 선형도시, 동심원형도시, 군집형도시, 다초점형도시,
       번개형도시, 오자형도시 등
    ⑷ 기능적 분류 ∼ 위성도시, 침상도시
    ⑸ 법제적 분류 ∼ 특별시, 광역시, 지정도시, 신산업도시
    ⑹ 실체적 도시와 형식적 도시 ∼
       형식적 도시 ∼ 법률적 도시, 통계적 도시
    ⑺ 인간정주학(人間定主學)적 유형 ∼
       도시사회 및 도시규모의 변천과정을 중심으로 15가지 인간 생활공간체제로 분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