第六障. 都市行政
문 90) 도시화
Ⅰ. 도시화의 개념
광의의 개념 ∼ 지역의 도시적 요소가 증대하는 과정
협의의 개념 ∼ 농촌적인 지역이 도시적인 지역으로 변동하는 과정
도시화의 삼원(三元)적 개념
┌ 행태적 개념 : 대규모의 인구, 높은 인구밀도, 인구의 이질성
┣ 구조적 개념 : 도시화가 제반 경제적인 인자나 요소의 변화와 연결해 진행
└ 인구적 개념 : 특정지점상에서 발생하는 인구의 집중현상
도시화율 = (도시인구÷전국인구)×100
인구의 집중현상 = 도시인구의 증가+인구밀도의 증가+주야간 인구의 격차 증대
Ⅱ. 도시화 요인
1. 선진국과 개발국의 도시화 촉진
⑴ 사망률의 저하 ⑵ 농업의 과학적 관리 ⑶ 교통·통신체계의 발달
⑷ 정부의 정책 ⑸ 산업혁명
2. 선진국의 도시화 촉진
⑴ 수세기에 걸쳐 장기적이고 점진적으로 진행
⑵ 도시화를 지속시킬 수 있는 경제적 자원의 공급이 확대
⑶ 토지와 식량 및 직업에 대한 인구압력은 해외이민을 촉진시켜 왔음
3. 개도국의 도시화 촉진
⑴ 급속한 인구성장 ⑵ 1인당 이용경지의 감소
⑶ 교통과 통신의 발달 ⑷ 국제이민의 장애 및 영토의 한정
4. 도시화의 일반적 요인
⑴ 직접요인(도시의 흡인력)
① 과학기술의 발달 ② 보다 많은 선택의 기회 ③ 도시편중 기능의 팽창
⑵ 간접요인(농촌의 압출력)
① 도시와 농촌의 소득격차 ② 농업의 기계화로 잉여인력의 발생
③ 매스컴에 의한 자극 등으로 이촌향도 경향의 발생
Ⅲ. 개도국의 전국적 도시화 정책
장기적이며 계획되고 유도된 도시화 정책
국가도시 계층의 모든 수준에 초점을 두고 도농간 인구배분을 고려
→ 종주도시 및 수위도시의 성장은 완화시키고,
상대적으로 침체 혹은 정체된 중소도시의 성장을 촉진시키는 정책
'행정학노트' 카테고리의 다른 글
문 88) 지방의회의 구성과 권한 (0) | 2011.01.14 |
---|---|
第六障. 都市行政 문 89) 도시행정의 일반 (0) | 2011.01.14 |
문 91) 공공서비스의 생산배분이론 (0) | 2011.01.14 |
第七障. 政 策 學 문 92) 정책의 유형 ∼ 학자별 정리 (0) | 2011.01.14 |
문 93) 다원주의와 elite주의에서 나타난 정책에 대한 시각(case문제) (0) | 2011.01.1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