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 81) 지방자치단체간 갈등원인 및 해결방안 : 지역이기주의의 해소방안
Ⅰ. 의의
종래 지방자치단체 : 중앙정부의 하부기관으로 일사불란한 업무집행
소외된 자기 지역의 이익을 주장 → 지방자치 토착화를 위한 극복 대상
Ⅱ. 갈등의 의의 및 시작
1. 유형
⑴ 기피갈등 : NIMBY, LULU(Locally Unwanted Land Use)
① 혐오시설, ② 위험시설, ③ 지역개발장애시설
⑵ 유치갈등 : PIMBY ex) 공원, 도서관, 행정관청
2. 시각
⑴ 지역갈등의 표면화 : 지역보호주의적 측면
⑵ 국지적 합리성 주장 : 지역이기주의적 측면
※ 지역보호주의론자의 시작 : NIABY(Not In Anybody's Back Yard)
→ 핵시설과 같은 위험시설은 어느 지역에도 건설하면 안된다는 주장
3. 통제방향
⑴ 권력강제 + 지원·지도·조정·협조
⑵ 중앙-지방 : 상호의존적 관계로 형성
Ⅲ. 갈등발생의 원인
1. 역사적·정치적 요인
종래 개발전략 : 거점식 개발 ∴ 낙후지역에서의 불신감 팽배
2. 정치적·거시적 요인
국민형성도↓ ∴극단적 의사표출 및 선심성 정책이 과다
입지의 제한성 : 생존권 차원에서의 저항 ex) 소각장 설치의 논란
3. 비선호시설의 특성
비용과 편익의 불일치+피해보상의 미흡 ∴ 어느 일방이 손해
복수기관이 공동 관여 ex) 한강유역의 관리
4. 정책결정과정상의 요인
주민참여 및 정보공개의 미흡 등 잘못된 입지선정절차
DAD 모형식 정책결정 행태, 비민주적 밀실행정
5. 갈등조정기구의 미흡
⑴ 감독관청·내무부장관 : 직권조정×, 분쟁당사자의 신청이 있어야 함
⑵ 지방자치단체분쟁조정위원회 : 결정권×, 절차만 존재
⑶ 환경분쟁조정위원회 : 최종결정권보유, 알선·조정·중재
Ⅳ. 해소방안
1. 인식의 전환 : 지역보호주의
2. 지역적 형평성 확보 : 여러 지역의 균형 개발 필요
3. 참여 : 정보의 공개
4. 협상 : 토론 문화의 정착
5. 보상 : 보상원칙의 충분한 고려, 공공선택론에서 비롯
⑴ 비용과 편익의 교환 ex) 경기 북부 상수원지역에 대한 서울시의 원조
⑵ 동반입지 : 위험시설 입지시 편익시설을 동시에 제공
ex) 강원도 폐광지역에 핵폐기물시설을 입지하면서 내국인 상대 카지노사업허가
⑶ 입지공모 ex) 미리 입지대상지역 선정 → 아파트 분양시 분양가도 낮추게 함
6. 광역행정 : 자치구역확대
7. 기능 및 권한 배분의 명확화
8. 민간인·전문가가 참여하는 조정위원회
Ⅴ. 결론
자치시대의 갈등 → 학습과정
중앙정부의 행태개선 + 지방정부의 피해의식 극복 → 지방자치정착
지역보호주의에 대한 인식전환
ex) 영광군수의 원자력발전소공사 거부처분
인천시의 영종도 진입로 건설허가 거부처분
'행정학노트' 카테고리의 다른 글
문 79) 지방행정서비스 공급의 민영화 (0) | 2011.01.14 |
---|---|
문 80) 주민투표 (0) | 2011.01.14 |
문 82) 지방자치에 대한 정당개입의 장단점 (0) | 2011.01.14 |
문 83) 지방자치단체에 대한 중앙정부의 통제 (0) | 2011.01.14 |
문 84) 지방정부재정구조 (0) | 2011.01.1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