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 10) 行政學의 接近方法
Ⅰ. 의 의
規範(당위성 부과)과 記述(있는 현상을 그대로 설명)
미시적 접근과 거시적 접근
미시적 접근 : 방법론적 개체주의, 환원주의(부분의 합=전체)
거시적 접근 : 방법론적 신비주의, 총체주의(부분의 합=전체+α)
부분의 합이 전체로 가면서 生成屬性이 생긴다고 봄
정치학 경영학
이상과학 ┣─────╋────╋────╋────╋────┨ 정상과학
행정학 경제학
Ⅱ. 역사적 접근
역사적 접근 : 연대적 기술
신역사주의 : 현재의 시점에서 과거의 역사를 해체해 새롭게 해석
예) 단종 폐위에 대해 종래 세조를 비난하고 사육신을 숭앙했으나
5·16이후에는 시대상황을 이유로 들러 정당화시킴
Ⅲ. 법제적·제도적 접근
삼권분립적 접근
신제도론 : 종래 제도를 3권분립상 기능(역할)으로 설명
Ⅳ. 관리기능적 접근 : 과학적 관리론과 인간관계론
1. 과학적 관리·원리접근 : 환경 무시, 조직 내부에만 관심
⑴ Taylor (1900년대) : 하급자의 활동을 연구→직무급, 시간·동작연구
⑵ 원리접근법 : Gulick의 POSDCoRB가 대표적
조직관리기법논의, 조직설계의 중요성 강조, 물리적 요소 강조
능률적인 조직만 있으면 능률성이 향상되리라 봄 → 인적 요소 무시
2. 인간관계론 : Mayo의 호손 실험 → 인간심리의 중요성 인식
3. 두 접근법의 공통점
⑴ 폐쇄체제 : 환경과의 관련 무시, 조직 내부만 고려
⑵ 두 이론 모두 인간을 조직 목표의 달성을 위한 수단으로 봄
Ⅴ. 생태론적 접근
1. 시기 : 1940년대, 개체군 생태이론(어떤 조직이 발전·쇠퇴하느냐 연구) 등장
2. Gaus : 행정의 7대 변수를 환경적 요소로 파악
이념, 과학적 기술, 사회적 기술, 개인, 국민, 장소, 재난
3. Riggs : 프리즘 사회 제시, 구조기능분석 이용, 선·후진국 사회이원론
선진국 ∼ 산업사회, 분화사회, 근대사회
후진국 ∼ 농업사회, 융합사회, 전통사회
구 분 |
전통(융합)사회 |
근대(분화)사회 |
경제적 요인 |
자급자족적 경제체제 |
상호의존적 경제체제 |
사회적 요인 |
혈연적 사회구조 |
실적·업적 중시 |
상징제도 |
직관·의식주의 |
경험적 합리주의 |
communication |
상의하달 |
유동적·상하소통원활 |
정치체제 |
권력의 근거=천명으로 신성시 |
권력의 근원=국민 |
Sala모형 제시 : 전통·농업·융합사회 → 전이사회 → 산업·근대·분화사회
4. 생태론의 공헌 : 환경을 중시, 준개방체제, 행정에 있어서 문화의 차이 인정
5. 생태론에 대한 비판
⑴ 결정론적 입장(숙명론, 운명주의, 패배주의)을 취함
⑵ 개도국의 발전을 설명하지 못함
⑶ 발전 Elite 의 역할을 설명하지 못함
Ⅵ. 행태적 접근
1. Simon의 행태주의(=실증주의=경험주의=계량주의)
방법론적 개체주의, 과학적 연구, 가치중립
→ 실증적 증명을 중요시 : 설문지 분석 등이 대표적인 행태주의 접근방법
2. 특징
⑴ 논리실증주의 : 과학철학에서 비롯, 가치배제, 경험적 연구(반복가능)
⑵ 심리주의 : 사회심리학 응용, 인간의 사고·심리현상·심리법칙으로 연결
⑶ 과학적 설명 : 계량적 접근, 모든 현상을 인과관계로 설명하기 위해
조작적 정의 사용
예) 날씨가 더우면 공부가 안된다→
온도와 점수를 계량적으로 표시해 비교
3. 문제점
⑴ 경험적 보수주의 초래 → 가치영역의 경시
⑵ 실체 파악 없이 도구적인 연구방법에만 집착
⑶ 지나친 과학성·이론 정립에만 노력 → 현실문제 해결을 도외시
Ⅶ. 후기행태주의 : 신행정학, 정책학 등 행태주의를 비판하면서 등장, 가치영역의 인식
1. 현상학적 접근 : 내면의 가치, 의식 중시
2. 역사주의적 접근 :
역사적 사실에서 공통적 경험 도출(≠역사적 접근→전통적 행정학)
3. 민속학적 접근 (사회학, 문화인류학)
Ⅷ. 체제론적 접근
1. T. Parsons : 구조기능주의 ∼ AGIP의 4대 기능으로 설명
Adaption ∼ 적응기능 → 정치
Goal attainment ∼ 목표달성기능 → 산업·경제
Integration ∼ 통합기능 → 경찰·사법
Pattern maintenance ∼ 체제유지기능 → 교육·종교
2. D. Easton : 투입·산출모형
input → [conversion] → output
┗──────────────┛
← feedback ←
3. G. Almond
Easton의 모형을 세분화해 설명 : 예컨대 투입을 언론, 입법부 등으로 구분
4. 체제이론의 특징
⑴ 항상성 : 현대 유지되는 기능을 지속 (일정수준의 지속)
⑵ 개방형 : 異因同果 ∼ 하나의 결과를 낳는데 여러 가지 방법이 있음을 인정
⑶ 문제점 : 정태성과 현상유지, 거시적 측면만 강조
Ⅸ. 현상학적 접근
현상학 ∼ 피상적 현상이 아닌 間主觀
인간과 자연에 대한 이해
관료와 주민 → 간주관에 의해 결정
주민의 개인적 상황을 고려해 주체와 주체의 관계로 파악
상호관계에 의한 판단 → 비판행정학으로 발전
'행정학노트' 카테고리의 다른 글
문 8) 준정부조직과 새로운 정부의 모습 (0) | 2011.01.14 |
---|---|
문 9) 行政學의 發達史 (0) | 2011.01.14 |
문 11) 政治·經營 그리고 行政 (0) | 2011.01.14 |
문 12) 행정이념 (0) | 2011.01.14 |
문 13) 행정학의 접근방법 (0) | 2011.01.1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