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
|
Q9. |
부모가 모두 사망하여, 아이들을 돌봐줄 수 있는 사람이 없습니다. 그렇다고 친척들이 계속 돌봐줄 수도 없는 형편에서 어떻게 해야 도움을 받을 수 있을까요? |
|
|
|
|
1) 소년・소녀가정 및 가정위탁아동보호 사업
(1) 정의와 목적
부모의 사망, 질병 등으로 인해 실질적으로 가정을 이끌어 가는 소년・소녀가정과 조부모, 친척의 도움으로 생활하는 가정위탁 아동에 대해 보호 지원하는 사업
※ 소년・소녀가정 보호제도는 아동에게 위험을 초래 할 수 있어 가정위탁보호로 전환하는 추세임
(2) 세부내용
가. 가정위탁 유형
- 대리양육 가정위탁・친조부모, 외조부모에 의한 위탁
- 친인척 가정위탁 : 친인척에 의한 양육(민법에 의한 8촌 이내 혈족)
- 일반가정위탁 : 일반인에 의한 가정위탁
나. 지원내용
지 원 종 류 |
지원 내역 및 지원 대상 |
비 고 |
위탁아동 양육보조금 소년소녀가정 보호비 |
∘ 아동 1인당 월 10만원 |
|
효정신 함양비 |
∘ 50천원/세대・년2회(설・추석) * 부모 중 한부모 이상이 사망한 세대에 지원 |
|
대학입학금 |
∘ 3,000천원/인・년(대학합격통지서 등 확인 통해 지원) * 고등교육법에 의한 대학진학자(사이버대학 포함) |
|
자립정착금 |
∘ 5,000천원/세대(형제・자매 등의 경우 세대별 1회만 지급) * 가정위탁, 소년가정이 종료되는 만 18세 이상 아동 책정된 지 1년 이상인자에 한함(아동시설 거주기간 포함) |
|
고등학생 직업훈련비 |
∘ 600천원/인・분기 * 고등학교 재학생중 취업대비 기술교육 학원에 다니는 자 |
|
미진학생 학원수강료 |
∘ 600천원/인・분기 * 학교에 재학하지 않고 기술・교육학원 또는 중・고・대입검정고시 준비를 위해 학원에 다니는 자 |
|
국민기초생활수급자 책정 지원 |
∘ 국민기초생활보장법에 의한 생계・교육 ・의료급여 지원 * 행복e음을 통한 자산조사 확인 후 책정지원 |
|
전세자금지원 |
∘ 일반주택 : 7,000만원 공공임대주택 임대보증금 및 임대기간 중 월 임대료 전환금액 * 가구당 월평균소득이 ‘09년도 도시근로자 가구당 월평균이하로써 무주택인 가정 |
소년・소녀가정 대리양육 친인척위탁가정 |
가정위탁아동 상해보험료 지원 |
∘ 보험료 : 1인당 평균 8만원이내 ∘ 가정아동 후유장애, 입원・통원 의료비 등 지원 |
|
다. 문의처 : 관할 거주지 동 주민센터 또는 구청 여성복지과
<출처: (재)서울시복지재단>
'사회복지' 카테고리의 다른 글
맞벌이 부부로 서로 회사일에 바쁘다 보니, 일이 있을 때 집에 오셔서 아이를 돌봐주실 분을 구할 수 있을까요? (0) | 2012.06.15 |
---|---|
이번에 셋째 아이를 출산하였습니다. 서울시에서 별도로 다자녀 가정에 대한 양육지원 사업이 있나요 (0) | 2012.06.15 |
장애아동을 양육하고 있는 가정입니다. 아이를 키우는데 필요한 비용을 지원 받을 수 있는 제도가 있을까요 (0) | 2012.06.15 |
장애아동을 양육하고 있는 가정입니다. 아이에게 여러 가지 치료지원이 필요하지만 경제적인 부담이 큽니다. 도움을 받을 수 있나요 (0) | 2012.06.15 |
잘못된 일이었다는 것은 알지만, 한순간의 실수로 임신을 하게 된 고등학생 산모입니다. 임신・출산의료비를 지원 받을 수 있나요? (0) | 2012.06.1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