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
|
Q19. |
다문화가정을 지원하는 기관이나 단체 등 어떤 서비스와 혜택이 있는지 궁금합니다. |
|
|
|
|
2) 다문화가정 지원사업(다문화가족지원센터)
(1) 정의와 목적
다문화가족을 위한 가족교육・상담・문화 프로그램 등 서비스 제공을 통해 결혼이민자의 한국 사회 조기 적응 및 다문화가족의 안정적인 가족생활 지원하는 원스톱 서비스 기관
(2) 세부내용
가. 지원내용
① 방문교육사업
경제적 어려움 및 지리적 접근성의 문제로 집합교육에 참석하기 어려운 결혼이민자 및 가족을 대상으로 전문지도사를 양성, 가정으로 파견
사업명 |
사업내용(목적, 대상, 내용 등) |
비고 |
다문화가족 한국어교육 |
다문화가족의 언어소통 어려움으로 한국생활 조기정착 어려움을 해소하기 위해 한국어교육 지도사를 파견하여 전문 상담을 통한 맞춤형 서비스 지원 |
|
다문화가족 아동 양육지원 |
12세 미만의 아동을 양육하는 결혼이민자에게 아동양육 전반에 걸친 교육 및 상담서비스를 통해 아동양육 능력 제고를 통한 가족통합 지원 |
|
임신・출산 지도 서비스 |
출산을 앞둔 결혼이민자에게 산전준비 및 산후 아동양육에 필요한 단기간의 출산 전후 서비스 제공 |
|
② 통・번역서비스 사업
- 가족생활 및 국가 간 문화차이 등 입국초기 상담
- 결혼이민자 정착지원 및 국적・체류 관련 정보제공 및 사업 안내
- 임신・출산・양육 등 생활정보 안내・상담 및 교육과정 통역
- 가족 간 의사소통 지원 및 위기 대응을 위한 통역 파견
- 유치원・초등학교 등 알림장 번역, 학교 상담 시 통역 파견
- 행정・사법기관, 병원 진료 등에 필요한 통역 파견
- 기타 위기상황 발생 시 및 전화・이메일 통・번역 업무 처리 등
③ 다문화 가족 자녀 언어발달 지원
- 센터내방 자녀에 대한 자체 프로그램 운영
- 센터 인근 보육시설로 파견하여, 보육시설 원아인 다문화가족 자녀에 대한 언어교육 실시
④ 이중언어교실 운영
유치원 ~ 초등학교 재학생(1개반 당 10명 내외) 및 부모를 대상으로 베트남어, 중국어, 몽골어 등 이중 언어교실 운영
<다문화가족지원센터프로그램 안내>
종류 |
사업명 |
사업내용 (목적, 대상, 내용 등) |
비고 |
기본 사업 |
한국어 교육 |
∘ 체계적인 한국어교육을 실시하여 결혼이민자들의 한국사회 적응을 돕고 안정적 조기정착 지원 ∘ 결혼이민자 대상 수준별 반 편성을 통한 단계별 한국어교육 실시(5단계 과정 : 초급1・2,중급1・2,고급) |
집합교육, 방문교육, 온라인교육, 방송교육 병행 |
다문화사회 이해교육 |
∘ 결혼이민자들이 가정, 지역사회 및 한국생활 전반에 대해 쉽게 적응할 수 있도록 지원 ∘ 결혼이민자 대상 우리나라의 법률 및 인권, 결혼과 가족의 이해, 다문화가족생활교육 등을 강의・체험 방식 등을 병행하여 진행 |
| |
가족교육 |
∘ 의사소통 미숙 및 부재로 인한 가족 간 갈등을 예방하고 가족구성원 교육을 통해 가족 내 역할 및 가족문화에 대한 이해력 향상 |
| |
다문화가족 대상 |
∘ 통합교육, 시부모교육, (예비)배우자교육, 자녀지원 프로그램 운영 등 다양한 교육 프로그램 진행 |
| |
가족개인 상담 |
∘ 결혼이민자와 그 가족의 문제를 파악하고, 심리・정서적 지원 ∘ 부부・부모・자녀・성・경제문제 등 결혼이민자와 그 가족들의 문제를 파악하고, 심리・정서적 지원 및 정보제공 |
| |
취・창업 지원 |
∘ 결혼이민자의 사회・경제적 자립 등을 지원하기 위하여 인력양성 및 취업연계 등 맞춤형 취・창업 지원 ∘ 취・창업능력 향상 교육프로그램 제공, 해당지역의 일자리제공 기관과 결혼이민자 연계 활동 등 |
| |
종류 |
통번역 서비스자조모임 |
∘ 서비스 수요분석에 기반하여 센터 내 기존 프로그램 및 외부기관과의 연계를 통해 멘토 양성・활동 ∘ 센터와 지자체와의 협력을 통해 법률지원, 가사도우미 등 서비스 영역별로 지역사회 인적 자원을 활용하여 다문화가족 자원봉사단 구성・운영 |
|
멘토링, 자원봉사단 등 지역사회민간자원 활용프로그램 |
∘ 결혼이민자들과 지역사회 구성원들이 다양한 문화를 체험하는 기회를 통해 서로에 대한 이해를 높이고 공동체의식 함양 |
| |
다문화 인식개선사업 |
∘ 결혼이민자들과 지역사회 구성원들이 다양한 문화를 체험하는 기회를 통해 서로에 대한 이해를 높이고 공동체의식 함양 |
| |
지역사회 협력 네트워크 강화 |
∘ 지역사회 내 다문화 가족지원 사업이 통합적, 체계적, 효율적으로 추진될 수 있도록 서비스 전달체계 구축 및 서비스제공기관 연계 |
|
나. 문의처
- 대표전화 : (국번없이)☎ 1577-5432 (가까운 다문화가족지원센터로 연결)
- 홈페이지 : http://liveinkorea.mogef.go.kr/mfsc.center
<출처: (재)서울시복지재단>
'사회복지' 카테고리의 다른 글
국민기초생활보장 (0) | 2012.06.16 |
---|---|
다문화가족지원센터 외에 다문화가정을 지원해 주는 기관이나 사업이 있나요? (0) | 2012.06.16 |
이혼을 하였지만 남편으로부터 아무것도 지원받지 못하여, 생계 유지가 어렵습니다. (0) | 2012.06.15 |
이제 곧 아이를 낳게 되는 예비 엄마입니다. 임신 및 출산 지원제도는 어떠한 것들이 있는지 알려 주세요 (0) | 2012.06.15 |
더 이상 남편으로부터의 폭력을 견딜 수 없습니다. 저 같은 가정폭력에 시달리고 있는 여성을 도와 줄 수 있나요? (0) | 2012.06.1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