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 85) 선출된 장과 임명직 공무원과의 바람직한 관계
Ⅰ. 의의
능률성과 민주성의 조화문제
Ⅱ. 부단체장의 지위와 역할
1. 역할 ∼ 장을 보좌, 지휘·감독·유고시 대리
2. 정수 ∼ 특별시(3), 광역시와 도(2), 시·군·자치구(1)
3. 신분 ∼ 특별시·광역시·도의 경우 1인만 정무직 나머지는 모두 일반직 공무원
Ⅲ. 갈등관계
1. 장의 행태 ∼ 표를 의식한 선심성 행정, NIMTOO
→ 책임성·민주성의 확보가 필요
2. 관료의 행태 ∼ 신분보장, 경직성, 책임회피
→ 전문성·일관성·능률성
Ⅳ. 협조관계 ∼ 책임성·전문성의 조화
Ⅴ. 결어 ∼ 현재의 갈등관계 → 학습과정으로 이해
'행정학노트' 카테고리의 다른 글
문 83) 지방자치단체에 대한 중앙정부의 통제 (0) | 2011.01.14 |
---|---|
문 84) 지방정부재정구조 (0) | 2011.01.14 |
문 86) 계층제 (0) | 2011.01.14 |
문 87) 광역행정 (0) | 2011.01.14 |
문 88) 지방의회의 구성과 권한 (0) | 2011.01.1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