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 52) 공무원의 정치적 중립
Ⅰ. 의 의
실적주의, 직업공무원 → 국민전체에 대한 봉사자
어떤 정당이 집권해도 특수이익을 추구하지 않음
실적주의 하에서만 의미가 있음
근래 정당가입 금지, 선거과정에서의 중립 경향
Ⅱ. 내용과 근거
1. 내용 : 전면적 금지
⑴ 정당가입의 배제 : 허용 여부 논의가 일부 있음
⑵ 선거과정의 중립 : 관권선거 금지
2. 필요성
⑴ 국민전체에 대한 봉사
⑵ 공익증진
⑶ 민주정치 확립
⑷ 행정의 자율성 보장, 실적주의 확립
Ⅲ. 확립방안 ∼ 정치환경의 정상화, 대표관료제, 정치의식향상, 행정윤리의 확립 등
Ⅳ. 한 계
1. 책임회피·무사안일 ∼ Invisible Party
2. 공무원집단의 보수화
3. 자기 통제의 가능성 저하
4. 공무원의 기본권 문제 : 참정권 제한
→ 근래 참여적 관료제 강조 : 능률성에 민주적 요소 가미
Ⅴ. 결 어
종래 정치적 중립의 강조 → 오히려 여당화 추구(책임성 확보가 곤란)
엽관주의 → 실적주의 ∴ 공무원의 정치활동은 어느 정도 인정되어야 함
정당의 민주화와 더불어 평가
'행정학노트' 카테고리의 다른 글
문 50) 승진 (0) | 2011.01.14 |
---|---|
문 51) 보수 (0) | 2011.01.14 |
문 53) 공무원단체 (0) | 2011.01.14 |
第四障. 財務行政 문 54) 재무행정관련 용어의 개념 정리 (0) | 2011.01.14 |
문 55) 예산의 기능 (0) | 2011.01.1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