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 50) 승진
Ⅰ. 의 의
우수한 재직자 확보, 능력발전, 인력의 효율적 활용
우리 나라 ∼ 현재 상당한 승진적체현상 발생
Ⅱ. 범 위
1. 승진의 한계 ∼ 어디까지 승진할 수 있느냐의 문제
폐쇄형 → 높이까지 올라감
직위분류제 → 제한이 있음
2. 신규채용과의 관계 ∼ 어느 정도 비율을 둘 것이냐의 문제
현재 공무원의 이직율은 10% 미만
고시모집인원의 증대 → 기존 공무원의 불만, 대학의 만족
3. 재직자간 경쟁 ∼ 조직내 승진, 대개 자기 부처에서 승진
Ⅲ. 기 준
1. 기본적 기준 ∼ 자기 능력을 발전·전환시킬 수 있어야 함
조직에서 필요로 하는 능력을 보유하는 일이 중요
최고관리층 |
│ conceptual skill │ human skill ┗───────────┐ └─────┐ technical skill │ │ |
↑ │ 승진 |
중간관리층 |
||
하위관리층 |
2. 경력 ∼ 재임기간, 선심순위, 학력
근시성의 원칙 적용
3. 실적 ∼ 근무성적, 승진시험, 교육훈련실시
Ⅳ. 대 안
┌ 1. 대우공무원 : 최저연수근무
도입중 ╋ 2. 필수실무요원 : 수당만 지급
└ 3. 복수직급제 : 유사 승진, 급수만 승진하고 직책은 그대로 ex) 물서기관
실패 → 4. 계급수 확대 : 미국은 현재 18등급
부분
적용중 → 5. 계급정년제 : 군인·경찰에 적용 중임
Ⅴ. 결 어
인사지향적 정실발생, 인력정책의 경직성
→ 합리적 경력관리, 조직문화 개선이 요망됨
'행정학노트' 카테고리의 다른 글
문 48) 교육훈련 (0) | 2011.01.14 |
---|---|
문 49) 근무성적평정 (0) | 2011.01.14 |
문 51) 보수 (0) | 2011.01.14 |
문 52) 공무원의 정치적 중립 (0) | 2011.01.14 |
문 53) 공무원단체 (0) | 2011.01.1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