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 49) 근무성적평정
Ⅰ. 서 론
조직에서의 근무실적·능력·성격 등 … 합리적 인사관리의 기초
년 2회 실시
승진, 승급, 전직, 교육훈련의 수요 등의 평가가 목적
접근방법┌ 과거 ∼ 징벌적
└ 현재 ∼ 임상적 접근(상담·조언자로서의 감독자 기능 제고)
MBO의 요소가 가장 강함 : 평정시 자기기술서 작성 → 스스로 목표관리를 하게 함
평정결과는 공개 안됨 ∴ 소청대상이 못된다.
Ⅱ. 활 용
1. 상벌
2. 능력발전
3. 훈련의 필요성
4. 상여금 산정 등
Ⅲ. 모 형
"도평식 평정척도" ∼ 1점에서 5점까지 부여
아래 표는 출제 가능성 있음
구분 |
평정요소 |
구분 |
평정요소 |
구분 |
평정요소 | |||
근무실적 |
담당업무의 질과 양 |
직무수행능력 |
전문지식 |
직무수행태도 |
전문성 | |||
목표달성도 |
이해판단력 |
대민친절성 | ||||||
적시성 |
지도력 |
협조성 | ||||||
창의성 |
기획력 |
청렴도 | ||||||
노력도 |
업무추진력 |
보안도 | ||||||
조직.사회기여도 |
종합실무능력 |
|||||||
합계 |
합계 |
합계 |
문제점 ∼ 역산제(逆算制)의 발생
각 항목을 각각 고려해야 하지만 점수를 미리 정하고 항목별로 점수를 부여함
Ⅳ. 비 판
1. 평정자의 주관성
2. 타당도·신뢰도가 낮음
3. 표준화가 곤란
4. 장래예측곤란
5. 평정자의 오류
⑴ 관대화 경향 ← 현재 관대화 경향을 막기 위해 "강제배분" 방식 사용
2(수), 4(우), 3(양), 1(가)로 강제배분
⑵ 집중화 경향
⑶ 연쇄적 경향 ← halo effect 발생(첫 요소가 좋으면 뒤에도 그냥 잘 받음)
6. 목표의 왜곡
7. 피평정자의 심리적 부담
Ⅴ. 방향
분권화된 평정, 임상적 평정
※ 지방자치 실시 이후로 근무성적평정이 "표몰아주기, 돈 싸다주기" 등에 의해 좌우
→ 공무원들의 90% 이상이 시험에 의한 승진을 주장
49번과 비교) 경력평정
경력평정 ∼ 근무년도에 따른 평정
객관성이 가장 높음
경력평정의 경우는 공개한다
내 용
⑴ 친근성 : 해당 분야 관련업무 종사 경력
⑵ 근시성 : 최근 경력과 예전 경력 비교, 최근 경력에 비중을 둠
⑶ 습숙성 : 보다 많은 업무를 습득했을 가능성
⑷ 발전성 : 발전가능성
'행정학노트' 카테고리의 다른 글
문 47) 시보임용 (0) | 2011.01.14 |
---|---|
문 48) 교육훈련 (0) | 2011.01.14 |
문 50) 승진 (0) | 2011.01.14 |
문 51) 보수 (0) | 2011.01.14 |
문 52) 공무원의 정치적 중립 (0) | 2011.01.1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