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 16) 비교조직(조직의 유형)
Ⅰ. 서 론
모든 조직에 통할 수 있는 조직이론 → 찾기 어려움
중범위이론과 특수조직이론
조직이론을 명확히 하기 위해 비교조직론 연구
┌ 연혁적 방법 : 조직을 분류해 설명, 보편적 이론으로 통계적인 법칙은 아님
└ 귀납적 방법 : 조직의 특성을 살펴서 분류해 설명, 통계이론적,
대부분의 조직이론
Ⅱ. 조직의 유형
1. 수혜자(unibono) ∼ Blau & Scott
⑴ 호혜적 조직 ∼ 조직구성원이 주수혜자인 경우 ex) 클럽, 노조
문제점 : 구성원에 대한 통제의 어려움, 조직내 민주주의의 시련 발생
⑵ 사업조직 ∼ 조직의 소유자 관리자가 수혜자 ex) 대부분의 기업체
성장과 발전·능률성의 중시
⑶ 서비스 조직 ∼ 고객·일반대중이 수혜자 ex) 병원, 학교
전문성이 중요하게 취급됨
⑷ 공익조직 ∼ 일반국민이 수혜자 ex) 행정기관, 군대
민주적 통제가 중요하게 취급됨
2. 복종(compliance)의 문제
⑴ Etzioni ∼지배자가 사용하는 권력에 대한 연계 강조
사용수단 자기연계 |
강요적 |
보상적 |
도의적 |
물리(강요)적 |
Ⅰ |
Ⅱ |
Ⅲ |
보상적 |
Ⅳ |
Ⅴ |
Ⅵ |
규범적 |
Ⅶ |
Ⅷ |
Ⅸ |
지배유형(Ⅰ,Ⅴ, Ⅸ)이 잔여유형보다 효율적이라고 판단
지배유형 Ⅰ. 강요적 조직 ∼ 교도소, 강제수용소, 정신병원
Ⅴ. 공리적 조직 ∼ 기업체
Ⅸ. 규범적 조직 ∼ 종교단체, 자원봉사단체, 자발적 사회단체
→ 이중구조(dual structure)의 발생 : 상황에 따라 다르게 설명이
가능한 조직발생(ex. 군대)
→ 조직의 목표에 따라 적용되는 권력유형이 달라짐
⑵ 조직과 elite
직위권력 |
|||
+ |
- |
||
개인권력 |
+ |
공식지도자 |
비공식지도자 |
- |
관원 |
非 elite |
'행정학노트' 카테고리의 다른 글
第二障. 組 織 論 문 14) 조직이론의 paradigm (0) | 2011.01.14 |
---|---|
문 15) 조직이론의 변천 (0) | 2011.01.14 |
문 17) 조직의 구조변수 (0) | 2011.01.14 |
문 18) 기술과 구조 (0) | 2011.01.14 |
문 19) 공식구조와 비공식구조 (0) | 2011.01.1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