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 57) 예산의 분류 문 57) 예산의 분류 Ⅰ. 품목별 분류(지출대상별) : 구입하고자 하는 재화·용역의 종류를 기준, 통제위주 1. 인건비 (기본급, 수당, 상여금 등) 2. 물건비 (관서운영비, 여비, 판공비, 정보비, 차량비 등) 3. 경상이전비 : 반대급부 없이 이전(보상금, 배상금, 국제부담금, 출연금 등) 4. 자본지출 : 토지비, 시.. 행정학노트 2011.01.14
문 58) 예산의 원칙 문 58) 예산의 원칙 고전적 예산원칙이 중요 (공개적으로 명사가 정한 통일은 단일하고 완전하다) Ⅰ. 고전적 예산원칙 1. 공개성의 원칙 : 모든 예산은 국민이 알기 쉽게 해 공개 → 예산개요 2. 명료성의 원칙 : 간단·명료하고 알기 쉽게 3. 사전의결의 원칙 : 회계년도 개시전에 결정 4. 정확성의 원칙 :.. 행정학노트 2011.01.14
문 59) 특별회계 문 59) 특별회계 국가가 특정한 사업 운영 : 기업예산회계법 적용(사업특별회계, 기업특별회계) 특정 자금의 보유·운영 : 재정융자 특별회계 특정세입으로 일반세입·세출과 구분해 경리 행정학노트 2011.01.14
문 60) 기금 문 60) 기금 Ⅰ. 의의 기금 = 재정민주주의의 사각지대 기금·특별회계 : 예산회계법에 의함, 예산통일성의 원칙의 예외 기금의 요건 : 반드시 법적 근거가 있어야 하지만 豫算外이므로 국회가 심의권을 가지지 못함 → 국회에 보고만 하면 된다. Ⅱ. 종류와 비중 1. 기금에 관한 법령 ⑴ 기금관리기본.. 행정학노트 2011.01.14
문 61) 조세지출예산제도 문 61) 조세지출예산제도 Ⅰ. 의의 조세지출 = 조세감면 조세지출예산제도 : 조세감면의 구체적 나열을 예산구조로 밝히는 것 정부보조금 ┌ 직접적 지출 : 일반적 보조금 → 구체적임 └ 간접적 지출 : 조세감면 → 눈에 보이지 않음 법적 근거 : 조세감면규제법, 지방세법 → 법적 근거는 있지만 대상.. 행정학노트 2011.01.14
문 62) 준예산 문 62) 준예산 준예산 … 국회의 승인이 필요 없음 다음 회계년도 개시(차년도 1월 1일)까지 예산이 의결되지 않았을 때 사용 다음 세 가지 경우에만 한정 ⑴ 헌법이나 법률에 의해 설치된 기관·시설의 운용, 신설은 불가능 ⑵ 지출의무이행 ⑶ 계속적 사업의 경비 행정학노트 2011.01.14
문 63) 추가경정예산 문 63) 추가경정예산 Ⅰ. 의의 행정부 → 국회의 의결 과정 중에서 ① 본회의 의결 완료 후 수정하는 경우 → 추가경정예산 ② 본회의 의결 과정에서 수정하는 경우 → 수정예산 추가경정예산은 예산성립 후 생긴 사유로 변경이 필요한 경우 사용→예산회계법§33 Ⅱ. 편성이유(발생이유) 1. 70∼80년대 .. 행정학노트 2011.01.14
문 64) 통합예산 문 64) 통합예산 Ⅰ. 범위 "일반회계+특별회계+기금+정부투자기관(비금융공기업)" 제외대상┌ 금융활동을 하는 공기업 ┣ 외국환관리 → 재정활동, 사업이 아님 ┗ 지방정부예산(지방재정의 복잡, 통일성 결여) Ⅱ. 문제 및 특징 1. 정부통계자료 : IMF의 요구에 의해 만들어짐(cf. GDP는 UN의 건의로 작.. 행정학노트 2011.01.14
문 65) 예산결정이론 문 65) 예산결정이론 Ⅰ. 합리주의와 점증주의 1. 합리주의 과학적 분석기법에 의한 예산결정 목표설정·대안설정·비용편익분석 PPBS, ZBB 목표설정곤란, 보수적 태도, 집권화 가능성, 정치성 무시 2. 점증주의 예산상의 점증주의 : Wildavsky → 부분최적화, 소폭적 변화, 제한·연속·비교·상호조정 전년.. 행정학노트 2011.01.14
문 66) 예산과정 문 66) 예산과정 Ⅰ. 의의 및 성격 예산 3년 주기 최근에 결산에 많은 관심 증대 예산과정 = 정치적 과정 → 다양한 이해관계의 조정, 옹호자와 주창자의 관계 정치성 vs 과학성 또는 민주성 vs 능률성에 대한 균형적 시각 필요 Ⅱ. 편성 1. 의의 ⑴ 행정부담당 : 전문성, 책임성 미국도 1923년 예산회계법이.. 행정학노트 2011.01.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