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 17) 조직의 구조변수 문 17) 조직의 구조변수 Ⅰ. 서 론 조직의 구조변수 ∼ 조직구조에 영향을 미치는 변수 주된 관심 ∼ ① 변수가 ② 구조적 특성에 ③ 어떤 영향(조직의 효과성)을 미치는가? Ⅱ. 조직구조의 변수 1. 환경 ∼ 조직과 상호작용을 하는 외부 ⑴ Burns & Stalker → 환경에 대한 정보의 복잡성·불확실성을 기초 ①.. 행정학노트 2011.01.14
문 18) 기술과 구조 문 18) 기술과 구조 Ⅰ. 서 론 기술 ∼ 1965년 이후 개인적·생산과정적 입장 반영 Ⅱ. 기술적 복잡성과 기술적 타당성 1. 기술적 타당성 ∼ 생산과정이 통제될 수 있는 결과에 대한 예측이 가능하냐에 따라 ⑴ 조직의 규모 ∼ 기술적 복잡성과 무관 ⑵ 기술적 복잡성이 증가되면 ∼ ① 계층수가 많아지고,.. 행정학노트 2011.01.14
문 19) 공식구조와 비공식구조 문 19) 공식구조와 비공식구조 조직이 자연적으로 형성되느냐, 인위적으로 형성되느냐의 문제 ┌ 공식조직구조 ∼ 구성원 전체, 성문화, 이성적 행동과 논리 └ 비공식조직구조 ∼ 구성원 중 일부, 성문화×, 분화의 정도↓, 감정적·비논리적 비공식조직구조의 발생이유 → 조직구성원의 불만 : 공식.. 행정학노트 2011.01.14
문 20) 특수조직구조 문 20) 특수조직구조 Ⅰ. 서 론 Ⅱ. 유 형 1. adhocracy 조직 ⑴ 성격 ∼ 임시적·적응적·문제해결적·창의적 조직, 전문기술가로 구성 계층구조↓ 분권화↑ 분권적 의사결정, 신축적·융통성 ⑵ 유형 ① project team, ② task force, ③ matrix 조직, ④ 자유형 조직 〈Project Team 과 Task Force의 비교〉 법적 근거 조.. 행정학노트 2011.01.14
문 21) 권력구조 문 21) 권력구조 Ⅰ. 권력의 유형 1. M. Weber 의 권위유형 ⑴ 합법적 권위 ⑵ 전통적·가신적 권위 ⑶ 카리스마적 권위 2. French & Raven의 대인관계권력 ⑴ 보상적 권력 : 권력을 행사하는 사람이 상대방에게 보상 ⑵ 강요적 권력 ⑶ 정통적 권력 : 권력획득의 정당성 ⑷ 준거적 권력 : 모범으로 인정되는 권력.. 행정학노트 2011.01.14
문 22) 일반가와 전문가 문 22) 일반가와 전문가 Ⅰ. 의의 1. 일반가 ∼ 행정에 대한 광범한 지식·기술 → 조정·통합이 용이 2. 전문가 ∼ 특정분야의 지식·기술 수준이 높음 Ⅱ. 일반행정가의 장·단점 1. 장점 ⑴ 설득력 ↑ (전문가는 설득력↓) ∴ 조정·통합이 용이 ⑵ 공공이익에 대한 판단이 명확 (∵종합행정이 가능) ⑶.. 행정학노트 2011.01.14
문 23) 계선과 막료 문 23) 계선과 막료 Ⅰ. 의 의 계선 ∼ 지휘, 명령 부서, line, 조직의 목표달성을 위해 직접활동 막료 ∼ 아이디어 제공, step, 권한은 없음 Ⅱ. 계선과 막료의 차이점 계 선 막 료 집행업무에 종사 위임된 권한, 집행행사 결정권과 책임의 존재 부하에 대한 처벌 가능 막료의 건의를 받아들이지 않아도 됨 .. 행정학노트 2011.01.14
문 24) 리더십 문 24) 리더십 Ⅰ. 의 의 리더십 ∼ 조직 목적에 맞게 자발적으로 조직 구성원들이 협조하게 하는 기술 (문제해결기법) Nanus의 leadership과 managership(headship)의 구별 leader manager 상황을 지배, 혁신자, 사람에 초점을 둠 자주적 업무수행, 옳은 일을 하려 함 내용·이유 요구, 이상추구, 창의적 상황에 굴복, 상.. 행정학노트 2011.01.14
문 25) 주민참여 문 25) 주민참여 Ⅰ. 유사개념과의 구분 ▷ 주민(시민)참여 : 일반적 개념 ▷ 주민(시민)운동 : 일반적 개념 + 항거의 개념 ▷ 시민운동 : 기존 정치 질서 인정 ▷ 민중운동 : 기존 정치 질서 무시 → 정권전복이 목적 Ⅱ. 주민참여의 유형 1. 제도화 정도에 따라 ⑴ 비제도적 참여 ∼ 운동, 교섭 ⑵ 제도적 .. 행정학노트 2011.01.14
문 26) 공동생산(coproduction) 문 26) 공동생산(coproduction) 공동생산 =협동생산 ex) 쓰레기 분리수거, 가로등의 점등 ┌ 주민참여에 초점 : 직접적 수혜자가 될 주민의 적극적 참여 └ 경제적 전망에 초점 : 생산·소비간의 구별은 서비스 과정에서 구별 앞으로 공공부문에서의 생산전망 ∼ 단독(정규)생산자 →소비생산자 → 소 비 자.. 행정학노트 2011.01.14